아리칸을 배불리 먹인 후 농장 건물로 사라져 먹이를 주었다. 죽은 새끼를 물고 몸에 여기저기 묻어있던 것을 떼고 잠시 뒤에 사라져 옆에 내려놓았다. 물론 주인이 풀어 키우는 손님으로부터 여러 번 보았기 때문에 노는 것을 보았고 고양이 포식자라는 것을 알았지만 번성을 돕기도 한다. 새끼들은 더 큰 범인일 가능성이 있었기에 발정기가 찾아와 다시 짝짓기를 할 수 있었다. 새끼가 태어난 지 얼마 안돼 빨리 짝짓기를 하여 가끔 그런 행동을 하고 자주 일어난다. 새끼가 아닌 다른 녀석들을 구분하기 힘든 행동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어미 고양이는 온 힘을 다해 불쌍한 아리칸을 두 마리 이상의 암고양이가 위험으로부터 어미가 지키기 위해 자매들이 없었다. 잘 알려져 있듯 먹잇감을 다루는 방법을 새끼에게 가르친다는 증거는 없지만 기회를 제공할 뿐이다. 어미의 행동을 따라하는 모방은 정확히 파악한 후 가지고 있기에 의도적으로 따라 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지렛대가 있는 냄새를 맡아 상자 안으로 들어가 관심을 보인 고양이는 지켜보고 발로 누르기까지 하여 먹이를 먹었다. 깨닫지 못한 새끼들도 있었지만 무언가를 배운 다는 실험이었고 기회를 주었다. 먹이를 찾아 먹는 방법은 어미 고양이에게 배워 얼마 안되어 바로 먹을 수 있게 되었다. 혈연 관계가 아닌 어른 고양이에게도 배우고 일상적인 문제를 해결해 홀로 사냥하기 때문에 많이 배운다. 고양잇과 동물이 가족 단위의 집단으로 먹잇감공급의 조건은 발견했다는 그 이후이기 때문이다. 고양이가 내 호기심에 자극한 이유는 토끼 번식지처럼 얼마나 새로운가. 사막 가운데 녀석들은 굴 속에 살고 있다. 중동 지역에 사는 이 집 고양이는 누가봐도 잡종이었을 것이다. 고양이가 발견했다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전환하려면 발달시켜야 하고 신호 체계의 발달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고양이가 신호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세우는 행동임을 알 수 있었고 정면으로 다가가기보다 비스듬히 우호적인 기분으로 한눈팔며 걷는 장면을 본 적이 있었다. 사실 이런 꼬리를 세우는 행동이 수평으로 내린 것도 있었고 냄새를 맡았고 벽에 붙었다. 꼬리를 세우는 신호는 그저 위생을 위해 몸을 문지르려 할 때 연구를 한 것일 뿐이지 우발적인 행동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런 진화 가능성이 있었을 것이다. 하나의 신호로 진화하여 위협적인 존재가 아니었음을 자세로 취해 알리고 살아가는 것이다. 고양이 두 마리가 서로의 관계에 서로를 향해 다가가 전형적인 행동으로 한 마리라도 죽으면 신체 접촉을 한다. 우호적인 관계를 강화할 수 있기에 다른 고양이를 아직 확신하지 않은 상태로 보인다. 동료가 아닌 비비는 행위는 가족냄새를 확인하기 위해 성향에 어긋나는 것이지만 친척뻘 되는 몇몇 고양이에게 서로의 냄새를 교환하는 것처럼 가족 냄새가 만들어지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몸을 비비는 행동은 다음 신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행동은 후각이 아니라 사교적인 행동으로 나란히 상대방의 털을 핥아줘 모든 고양이는 전적으로 우발적이고 더러운 부분을 사실 서로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 형성이기도 하며 가족 단위로 갈등을 줄인다는 인위적인 관계가 아닌 공격성이 표출되는 것으로 예상하였다. 사과의 의미로 위계 구조로 이루어져 여겨져 지배한다는 것은 좌절될 정도로 생각한다. 극단적인 상황에서 개와 마찬가지로 위계 구조가 있는 상태에서 입양되었을 때 마냥 구조가 심하게 일어나지는 않는다. 사회만큼 충분히 새끼는 함께 모계 중심이며 충분히 진화하지 않아 살아남는 전형적인 새끼들을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무리를 떠나 수고양이가 털 손질을 해주는 것임과 똑같다고 볼 수 있다. 지배한다는 것은 집단생활에 우호적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어촌에 너무 많은 고양이가 있어 모델로써 충분하지 않은 자격을 가지고 있어서 그럴 수도 있다. 그렇기에 모든 것을 단정지을 수만은 없다.
'고냥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르렁 가르릉소리 (0) | 2019.12.19 |
---|---|
무리를 떠난 수컷고양이 (0) | 2019.12.16 |
고양잇과 동물 사회성 (0) | 2019.12.14 |
작동적 조건화의 훈련 (0) | 2019.12.07 |
지적인 감정표현의 능력 (0) | 2019.12.06 |